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 이하 중기부)는 23일(수),「2025년 모태펀드 1차 정시 출자」사업의 벤처펀드 선정을 마쳤다고 밝혔다.
이번 출자사업은 3,747억원을 출자해 34개 펀드 7,538억원 규모의 벤처펀드를 선정했다. 선정된 펀드는 3개월 내 결성하는 것을 전제로 진행하여, 대부분 펀드가 7월 내 결성될 예정이다. 이 펀드들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투자에 나서면서 벤처투자 회복세를 가속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분야별 선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생·소형 벤처캐피탈 전용 ‘루키리그’가 10개 펀드, 1,771억원 규모로 선정되었다. 2025년 중소벤처기업부 모태펀드 출자예산 1조원의 10%인 1,000억원을 루키리그에 배정하여, 신생·소형 벤처캐피탈이 펀드 결성의 기회를 갖고 도전적인 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지원한다.
최근 초기투자 위축세를 고려하여 출자를 확대한 창업초기 분야는 루키리그 다음으로 가장 큰 1,699억원 규모로 선정되었다. 특히, 올해는 50억원 내외 소규모 펀드를 통해 초기기업에 투자하는 ‘창업초기 소형’ 분야를 신설하여, 초기기업 발굴 및 보육에 강점을 가진 창업기획자, 창조경제혁신센터, 대학기술지주회사 등이 선정되었다.
‘바이오 펀드’도 500억원 규모로 선정되어 최근 투자유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임상 이전 단계 등 초기 바이오 기업의 자금 조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4년 신설 이후 올해부터 투자 대상을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 단위로 개편한 라이콘 펀드도 171억원 규모로 선정되어, 기업가형 소상공인이 혁신적인 사업모델을 토대로 의·식·주 등 생활문화 분야에서 성장 할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한다.
이 밖에 중소기업의 기업승계를 지원하는 ‘M&A 펀드’가 1,000억원 규모로 선정되었으며, 벤처·스타트업의 스케일업 투자유치를 지원하는 ‘스케일업·중견도약 펀드’가 1,000억원 규모로 선정되었다.
‘청년창업 펀드’ 668억원, ‘여성기업 펀드’ 200억원, ‘재도약 펀드’ 529억원도 선정하여 정책적 육성이 필요한 영역에 마중물을 지속 공급한다.
< ’25년 모태펀드 1차 정시 분야별 선정결과 (단위:억원, 개) >
분 야 | 모태출자 | 결성예정 | 펀드 수 | 주목적 투자분야 | |
루키리그 | 1,000 | 1,771 | 10 | 도전적 투자 대상·방식을 자율 제안 | |
창업초기 | 일반 | 850 | 1,419 | 6 | 창업 3년 이내 초기창업기업 |
소형 | 145 | 280 | 5 | ||
바이오 | 300 | 500 | 1 | 임상 이전 제약사 등 바이오·헬스 기업 | |
라이콘 | 102 | 171 | 3 | 전국 소재 기업가형 소상공인 | |
기업승계 M&A | 300 | 1,000 | 1 | 기업승계 등 M&A 목적 투자 | |
스케일업·중견도약 | 250 | 1,000 | 1 | 성장 가능성이 높은 혁신 중소·벤처기업 등 | |
청년창업 | 400 | 668 | 3 | 청년 창업기업 | |
여성기업 | 100 | 200 | 1 | 여성기업 | |
재도약 | 300 | 529 | 3 | 재창업 기업, 사업전환·사업재편 기업 등 | |
계 | 3,747 | 7,538 | 34 |
이번 출자사업은 어려운 시기에도 벤처캐피탈이 본연의 모험투자 역할에 충실할 수 있도록 마련한 제도 개선 사항도 신규 적용되었다.
비수도권 투자, 초기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선 운용사는 우대 선정*하여 지방투자 및 초기투자 인센티브를 강화하였다. 그 결과, 인센티브 대상 펀드 중 절반 이상이 투자의무를 설정하여 지방·창업초기 전용 펀드가 아닌 나머지 펀드도 지방 기업에 862억원, 초기 창업기업에 523억원 이상 투자할 예정이다.
* (지방투자 인센티브) 지방 소재 중소·벤처기업에 30% 이상 투자의무 설정 시 가점 부여
(초기투자 인센티브) 초기 창업기업에 30% 이상 투자의무 설정 시 가점 부여
‘투자→회수→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촉진을 위하여 올해부터 2년간(’25~’26) 구주 매입을 주목적 투자로 최대 20% 한시 인정하고, 비수도권 투자분은 주목적 투자를 120% 인정한다. 관리보수 지급 기준이 되는 손상차손 가이드라인도 초기 투자 등 도전적인 투자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시장 친화적으로 개편하였다. 매출이 발생하기 어려운 업력 5년 이내 기업은 투자 이후 재무제표가 악화되더라도 예외적으로 관리보수를 삭감하지 않고, 그 외 기업도 경영 개선이 예상되는 경우 회계감사인 검토 하에 관리보수 삭감을 유보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중기부 오영주 장관은 “지난해 우리나라 벤처투자 규모*는 2021년 이후 감소 추세에서 벗어나 첫 반등에 성공하며, 어려운 글로벌 시장 상황**에서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며, “이번 출자사업으로 선정된 7천억원 규모 벤처펀드가 신속히 결성되어 하반기에 본격적인 투자에 나선다면 이러한 회복세를 뒷받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국내 벤처투자(조원): (‘20) 8.1 → (’21) 15.9 → (‘22) 12.5 → (’23) 10.9 → (‘24) 11.9
** ‘20년 대비 ’24년 벤처투자 증감율: (전세계) △17%, (한국)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