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방송서비스, 이용자만족도· 영상체감품질·주문형 비디오(VOD) 광고 등 전반적 개선 |
- 과기정통부, 2024년도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 결과 발표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원장 황종성)은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였다.
유료방송 서비스 품질평가는 전체 18개 유료방송사업자*가 제공하는 유료방송서비스를 대상으로 채널 전환시간, 주문형 비디오(VOD) 광고 횟수·시간 등의 정량적 항목과 영상 체감품질, 작품(콘텐츠) 서비스 단계별 이용자 만족도 등의 정성적 항목을 평가하는 것으로, 2018년부터 매년 실시하여 왔다.
* 인터넷 텔레비전(IPTV) (KT, SKB, LGU+), 복수 종합유선방송 사업자 (LG헬로비전, SKB(CATV), 딜라이브, CMB, HCN), 중소 종합유선방송 사업자 (아름방송, 남인천방송, 충북방송, 광주방송, 금강방송, 푸른방송, 울산방송, 서경방송, 제주방송), 위성 (스카이라이프)
이번에 진행된 품질평가에서는 정성평가 시 실시간 채널 및 주문형 비디오(VOD) 탐색에 대한 “정보탐색 만족도”를 신규 평가하였으며, 이용자가 직접 평가하는 “영상 체감품질” 유형을 2종(뉴스, 드라마)에서 3종(스포츠 추가)으로 확대하였다. 또한 채널 전환시간 등 정량평가 시 기존에는 주간(09시~18시)에만 측정하였으나, 이용자의 주 시청 시간을 고려하여 야간(19시~23시)에도 측정함으로써 이용자의 유료방송서비스 시청 환경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였다.
품질평가 결과, 올해는 전년도 대비 영상 체감품질, 서비스 단계별 이용자 만족도와 작품(콘텐츠) 만족도 모두 향상되었다. 음량수준은 기준을 충족하여 양호한 수준이며, 위성방송 수신기(셋톱박스) 시작시간과 주문형 비디오 광고 시간 및 광고 횟수 모두 감소하는 등 전반적으로 품질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항목별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성방송 수신기 시작시간)
대기모드 상태인 위성방송 수신기를 켠 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한 위성방송 수신기(셋톱박스) 시작시간은 전체 평균 2.96초로 전년도(3.03초) 대비 0.07초 감소하였다. 최소 시간 평균은 2.44초, 최대 시간 평균은 4.08초로 측정되었다.
(단위 : 초)
|
|
| < 평균 > | < 편차 > |
| ||||
|
|
| ’24년 (’23년) |
| 전년 대비 |
| 최소 | 최대 |
|
|
|
|
|
|
|
|
|
|
|
| ▪ 전체 |
| 2.96 (3.03) |
| 감소 |
| 2.44 (2.46) | 4.08 (4.36) |
|
| ▪ 인터넷 텔레비전 |
| 1.89 (2.02) |
| 감소 |
| 1.10 (1.14) | 3.16 (5.05) |
|
| ▪ 복수 종합유선방송사업자 |
| 2.35 (2.50) |
| 감소 |
| 1.83 (1.91) | 3.56 (3.63) |
|
| ▪ 중소종합유선방송사업자 |
| 3.68 (3.70) |
| 감소 |
| 3.25 (3.32) | 4.73 (4.62) |
|
| ▪ 위성방송 |
| 2.75 (2.67) |
| 증가 |
| 2.27 (1.50) | 3.63 (3.58) |
|
* 주간(09시~18시) 평균 2.96초, 야간(19시~23시) 평균 2.97초로 동등 수준으로 나타남
(채널 전환시간)
시청 중인 채널을 리모콘으로 변경시 소요되는 시간인 채널 전환시간을 측정한 결과, 전체 평균은 1.45초로 전년도(1.42초)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채널 전환 최소 시간 평균은 0.82초, 최대 시간 평균은 2.86초로 측정되었으며, 비인접 채널 간 전환시간이 평균 1.65초로 인접 채널 간 전환시간 1.26초보다 길게 나타났다.
(단위 : 초)
|
| < 전체 채널 > | < 채널 유형별 > |
| ||||||||||||
|
|
| 평균(’23년) |
| 최소 | 최대 |
| 인접 | 비인접 |
| 해상도 |
| ||||
|
|
|
|
| 고선명→ 고선명 |
| 고선명→ 초고선명 |
| 초고선명→초고선명 |
| ||||||
|
|
|
|
|
|
|
|
|
|
|
|
|
|
|
|
|
| ▪ 전체 평균 |
| 1.45(1.42) |
| 0.82(0.78) | 2.86(2.62) |
| 1.26(1.23) | 1.65(1.61) |
| 1.47(1.41) |
| 1.66(1.54) |
| 1.96(1.74) |
|
| ▪ 인터넷 텔레비전 |
| 0.53(0.73) |
| 0.27(0.37) | 2.03(2.47) |
| 0.43(0.73) | 0.60(0.80) |
| 0.53(0.73) |
| 0.73(0.87) |
| 0.80(0.93) |
|
| ▪ 복수 종합유선방송사업자 |
| 1.46(1.38) |
| 0.86(0.84) | 3.10(2.44) |
| 1.28(1.22) | 1.66(1.52) |
| 1.48(1.36) |
| 2.20(2.30) |
| 2.95(2.90) |
|
| ▪ 중소종합유선방송사업자 |
| 1.73(1.62) |
| 0.99(0.92) | 2.93(2.66) |
| 1.52(1.37) | 1.94(1.87) |
| 1.76(1.61) |
| 2.45(1.85) |
| 2.47(2.10) |
|
| ▪ 위성방송 |
| 1.66(1.88) |
| 0.78(0.47) | 3.53(3.73) |
| 1.25(1.54) | 2.07(2.21) |
| 1.60(1.86) |
| 1.80(2.16) |
| 1.90(2.27) |
|
* 주간(09시~18시) 평균 1.46초, 야간(19시~23시) 평균 1.44초로 동등 수준으로 나타남
(채널별 음량수준)
실시간 방송 채널별 음량수준의 평균과 채널간 음량차이의 평균을 측정한 결과, 전체 사업자 모두 표준 음량기준(-24 LKFS*, 허용오차 ±2 dB)을 충족하였다. 기준음량 초과비율은 평균 8.1%로 전년도(8.7%) 대비 개선되었으며, 개별 채널간 최대 음량 차이도 평균 6.0dB로 전년도(6.5dB)에 비해 개선되었다.
* LKFS (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란 사람이 인지하는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는 표준 단위로, 최대 음량을 ‘0’으로 설정한 측정 모델에서 사람이 가장 편안하게 들을 수 있는 음량을 –24 LKFS로 규정, ‘-’는 절대수치가 클수록 소리가 작아짐을 의미 (관련 규정 :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 음량 등에 관한 기준)
(단위 : LKFS / dB)
|
|
| < 채널별 음량수준 > |
| < 기준 불충족> 채널 비율 > |
| < 채널간 음량 차이> |
| < 개별 채널간 최대 음량 차이 > |
| ||||
|
|
| 평균(’23년) |
| 비고 |
|
|
|
| |||||
|
|
|
|
|
|
|
|
|
|
|
|
|
|
|
| ▪ 전체 평균 |
| -24.6(-24.6) |
| 기준 충족 |
| 8.1%(8.7%) |
| 1.0(1.2) |
| 6.0(6.5) |
| ||
| ▪ 인터넷 텔레비전 |
| -24.3(-24.3) |
| 기준 충족 |
| 5.9%(6.4%) |
| 1.0(1.0) |
| 6.1(7.4) |
| ||
| ▪ 복수 종합유선방송사업자 |
| -24.6(-24.7) |
| 기준 충족 |
| 8.1%(9.3%) |
| 1.0(1.2) |
| 6.1(6.2) |
| ||
| ▪ 중소종합유선방송사업자 |
| -24.7(-24.6) |
| 기준 충족 |
| 9.3%(9.1%) |
| 1.0(1.2) |
| 5.9(6.4) |
| ||
| ▪ 위성방송 |
| -24.8(-24.9) |
| 기준 충족 |
| 9.5%(12.3%) |
| 1.0(1.2) |
| 5.9(6.5) |
|
(주문형 비디오 광고 현황)
유료 주문형 비디오 한 편당 평균 광고 횟수는 0.37회, 광고 시간은 9.97초로, 전년도(0.51회, 12.94초)에 비해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료 주문형 비디오와 무료 주문형 비디오 광고 현황을 비교해보면, 무료 주문형 비디오 한 편당 평균 광고 횟수는 2.03회, 광고 시간은 67.63초로 유료 주문형 비디오 대비 광고 횟수는 5.5배, 광고 시간은 6.8배 많이 편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 < 광고 횟수 (VOD 편당) > |
| < 광고 시간 (주문형 비디오 편당) > |
| ||||||||
|
|
| 유료(’23년) |
| 무료(’23년) |
| 비고 |
| 유료(’23년) |
| 무료(’23년) |
| 비고 |
|
|
|
|
|
|
|
|
|
|
|
|
|
|
|
|
| ▪ 전체 평균 |
| 0.37회(0.51회) |
| 2.03회(2.19회) |
| 5.5배 |
| 9.97초(12.94초) |
| 67.63초(63.77초) |
| 6.8배 |
|
| ▪ 인터넷 텔레비전 |
| 0.47회(0.48회) |
| 1.44회(1.89회) |
| 3.1배 |
| 13.93초(11.46초) |
| 45.53초(45.48초) |
| 3.3배 |
|
| ▪ 복수 종합유선방송사업자 |
| 0.44회(0.67회) |
| 1.76회(1.96회) |
| 4.0배 |
| 13.19초(21.81초) |
| 72.25초(74.30초) |
| 5.5배 |
|
| ▪ 중소종합유선방송사업자 |
| 0.30회(0.42회) |
| 2.37회(2.42회) |
| 7.9배 |
| 6.85초(8.50초) |
| 72.43초(64.02초) |
| 10.6배 |
|
* 위성방송(스카이라이프)은 KT의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를 공유하여 제공 중이어서 해당 항목 평가에서 제외
(영상 체감품질)
이용자 평가단(1,691가구)이 각 가정에서 직접 평가한 영상 체감품질은 전체 평균 4.60점(5점 척도)으로 전반적으로 우수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유형별로 보면, 뉴스 4.59점, 드라마 4.60점, 스포츠(신규) 4.60점으로 나타났다. 멈춤‧깨짐 등 이상 화면 발생 빈도는 편당 평균 0.11회로(100편 시청 시 11회 정도) 전년도(0.13회)에 비해 감소되었다.
*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는 체감 영상품질 평가기준으로 실제 평가자가 영상을 보고 1~5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4점 이상일 경우 ‘좋음’으로 판단
(단위 : 점수, 횟수)
|
|
| < 평균 > |
| < 영상 체감품질 > |
| < 이상 화면 > | ||||||||||
|
|
| ’24년 (’23년) |
| 전년 대비 |
| 뉴스 |
| 드라마 |
| 스포츠(신규) |
| 편당 발생 빈도 | ||||
|
|
|
|
|
|
|
|
|
|
|
|
|
|
|
|
|
|
| ▪ 전체 평균 |
| 4.60 (4.54) |
| 증가 |
| 4.59(4.54) |
| 4.60(4.55) |
| 4.60 |
| 0.11(0.13) | ||||
| ▪ 인터넷 텔레비전 |
| 4.69 (4.69) |
| 동일 |
| 4.67(4.66) |
| 4.73(4.72) |
| 4.66 |
| 0.32(0.07) | ||||
| ▪ 복수 종합유선방송사업자 |
| 4.66 (4.56) |
| 증가 |
| 4.65(4.57) |
| 4.68(4.56) |
| 4.66 |
| 0.08(0.19) | ||||
| ▪ 중소종합유선방송사업자 |
| 4.54 (4.49) |
| 증가 |
| 4.54(4.49) |
| 4.52(4.49) |
| 4.55 |
| 0.07(0.12) | ||||
| ▪ 위성방송 |
| 4.56 (4.49) |
| 증가 |
| 4.54(4.46) |
| 4.56(4.51) |
| 4.57 |
| 0.04(0.08) |
(작품(콘텐츠) 만족도)
제공되는 주문형 비디오의 다양성, 유료 주문형 비디오 비용의 적정성 등 작품(콘텐츠) 제공 현황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를 설문 조사한 작품(콘텐츠) 만족도는 전체 평균 58.6점(100점 만점)으로 전년도(56.8점) 대비 향상되었다. 평가항목 중 장르 내 콘텐츠 영상의 개수가 충분한지를 평가하는 주문형 비디오 개수 항목은 모든 사업자 유형에서 유료 주문형 비디오가 무료 주문형 비디오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유료 주문형 비디오 비용 항목의 경우 다른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54.9점)를 보였으나 전년(52.1점)과 비교하여 상승하였다.
(단위 : 점수)
|
|
| <평균> |
| <주문형 비디오 개수> |
| <추천 주문형 비디오 적절성> |
| <유료 주문형 비디오 비용> |
| <최신 주문형 비디오 비율> |
| < 기타 작품 다앙성> | ||||
|
|
| ‘24년(’23년) |
| 전년대비 |
| 유료 |
| 무료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체 평균 |
| 58.6(56.8) |
| 증가 |
| 61.2(58.6) |
| 57.7(56.4) |
| 59.6(57.9) |
| 54.9(52.1) |
| 58.6(57.8) |
| 59.5(58.1) |
| ▪ 인터넷 텔레비전 |
| 61.1(58.5) |
| 증가 |
| 64.8(60.5) |
| 59.9(56.5) |
| 61.2(61.2) |
| 56.4(51.9) |
| 61.4(60.2) |
| 63.1(60.7) |
| ▪ 복수 종합유선방송사업자 |
| 58.5(54.8) |
| 증가 |
| 60.9(57.4) |
| 56.7(54.6) |
| 59.6(55.9) |
| 55.0(49.9) |
| 59.2(56.3) |
| 59.4(54.8) |
| ▪ 중소종합유선방송사업자 |
| 57.8(57.4) |
| 증가 |
| 60.2(58.7) |
| 57.5(57.3) |
| 59.0(57.9) |
| 54.4(53.4) |
| 57.4(57.8) |
| 58.3(59.0) |
* 위성방송(스카이라이프)은 KT의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를 공유하여 제공 중이어서 해당 항목 평가에서 제외
(서비스 단계별 및 위성방송 수신기 성능 이용자 만족도)
유료방송 서비스 단계별 이용자의 만족도 조사 결과 전체 평균 65.2점(100점 만점)으로 전년도(63.7점)에 비해서 향상되었다.
서비스 단계별로는 설치(70.4점), 사후관리(A/S)(68.9점) 단계에서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으며, 이용(61.2점) 단계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해지(63.8점) 단계는 전년도(56.4점) 대비 만족도 점수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단위 : 점수)
|
|
| < 평균 > |
| < 서비스 단계별 만족도 > | |||||||||||||
|
|
| ’24년 (’23년) |
| 전년 대비 |
| 가입 |
| 설치 |
| 이용 |
| 사후관리 |
| 변경 |
| 해지 |
|
|
|
|
|
|
|
|
|
|
|
|
|
|
|
|
|
|
|
|
| ▪ 전체 평균 |
| 65.2 (63.7) |
| 증가 |
| 63.0(61.2) |
| 70.4(70.5) |
| 61.2(59.3) |
| 68.9(70.9) |
| 64.0(65.5) |
| 63.8(56.4) |
|
| ▪ 인터넷 텔레비전 |
| 66.8 (63.7) |
| 증가 |
| 65.6(60.6) |
| 73.3(69.9) |
| 63.9(61.0) |
| 71.0(68.0) |
| 68.1(65.0) |
| 59.1(55.7) |
|
|
| |||||||||||||||||
▪ 복수 종합유선방송사업자 |
| 63.7 (62.7) |
| 증가 |
| 61.8(59.8) |
| 69.3(69.6) |
| 60.6(57.7) |
| 66.8(69.6) |
| 63.6(65.4) |
| 59.9(56.3) | ||
|
| |||||||||||||||||
▪ 중소종합유선방송사업자 |
| 65.7 (64.6) |
| 증가 |
| 62.7(62.1) |
| 69.9(71.3) |
| 60.6(59.8) |
| 69.5(73.3) |
| 63.2(66.1) |
| 68.0(56.7) | ||
▪ 위성방송 |
| 64.3 (61.4) |
| 증가 |
| 63.2(60.8) |
| 71.9(69.7) |
| 61.6(57.9) |
| 67.9(64.8) |
| 61.6(61.4) |
| 59.6(55.6) | ||
|
한편, 위성방송 수신기 성능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평균 61.9점으로 전년도(60.6점)에 비해 향상되었다.
(단위 : 점수)
|
|
| < 평 균 > |
| < 평 가 항 목 > | ||||||||||||
|
|
| ’24년(’23년) |
| 전년 대비 |
| 반응 속도 |
| UI 편의성 |
| 기기 연동 용이성 |
| 조작 용이성 |
| 상태표시 |
| 텔레비전 동시전원 (신규) |
ㅣㅂ |
|
|
|
|
|
|
|
|
|
|
|
|
|
|
|
|
|
| ▪ 전체 평균 |
| 61.9(60.6) |
| 증가 |
| 60.9(59.3) |
| 62.9(61.4) |
| 63.8(62.9) |
| 61.6(59.9) |
| 61.2(59.5) |
| 61.1 |
| ▪ 인터넷 텔레비전 |
| 64.5(61.5) |
| 증가 |
| 64.7(59.5) |
| 65.0(62.5) |
| 66.8(64.2) |
| 64.6(61.0) |
| 63.1(60.3) |
| 62.9 |
| ▪ 복수 종합유선방송사업자 |
| 60.8(58.0) |
| 증가 |
| 59.8(55.8) |
| 61.2(58.0) |
| 63.0(60.8) |
| 60.3(58.1) |
| 59.8(57.2) |
| 60.7 |
| ▪ 중소종합유선방송사업자 |
| 61.8(61.7) |
| 증가 |
| 60.5(61.0) |
| 63.4(62.8) |
| 63.3(63.6) |
| 61.3(60.4) |
| 61.2(60.4) |
| 61.3 |
| ▪ 위성방송 |
| 60.2(61.8) |
| 감소 |
| 58.7(60.8) |
| 59.7(62.4) |
| 62.7(64.0) |
| 61.7(61.8) |
| 62.2(59.9) |
| 56.0 |
(정보탐색 만족도) (신규)
올해 신규로 평가한 정보탐색 만족도는 실시간 방송 시청 중 채널 정보를 확인하고 탐색하거나 주문형 비디오 작품(콘텐츠)을 검색하는 기능 및 검색 결과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를 설문 조사한 것으로, 전체 평균 63.8점(100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평가항목 중 작품(콘텐츠) 검색 결과 만족도는 62.0점으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채널 정보 탐색 시 시청 예약 기능에 대한 만족도는 67.9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단위 : 점수)
|
|
| <평균> |
| <채널 정보 탐색> |
| <주문형 비디오 작품 정보 탐색> | ||||
|
|
| ‘24년 | 채널 정보 표출 신속· 정확성 |
| 시청 예약 기능 만족도 |
| 콘텐츠 검색 편의성 |
| 콘텐츠 검색 결과 만족도 | |
|
|
|
|
|
|
|
|
|
|
|
|
| ▪ 전체 평균 |
| 63.8 |
| 62.9 |
| 67.9 |
| 62.5 |
| 62.0 |
| ▪ 인터넷 텔레비전 |
| 66.2 |
| 66.0 |
| 69.0 |
| 65.0 |
| 64.8 |
| ▪ 복수 종합유선방송사업자 |
| 63.4 |
| 62.8 |
| 68.5 |
| 61.2 |
| 61.0 |
| ▪ 중소종합유선방송사업자 |
| 63.1 |
| 61.7 |
| 66.8 |
| 62.3 |
| 61.7 |
| ▪ 위성방송 |
| 65.2 |
| 65.6 |
| 70.1 |
| 63.0 |
| 62.1 |
과기정통부는 “금년도의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는 정보탐색 만족도를 신규 평가하여 이용자가 실시간 채널 및 작품(콘텐츠) 검색 시 불편함이 없는지 확인하였으며, 이용자의 주 시청 시간을 반영한 평가 방법을 도입하여 방송서비스 시청 환경을 보다 정확히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며,
“평가결과, 올해는 전년대비 유료방송의 품질수준이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앞으로도 유료방송 사업자 간 경쟁 촉진을 통해 이용자의 편익을 증진하도록 평가를 지속적으로 개선·보완해 나갈 것” 이라고 밝혔다.
품질평가의 사업자별 세부결과는 과기정통부 홈페이지-정책·통계-통계정보에서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