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제(글로벌) 연구기반(인프라) 고위관리회의(GSO) 정식 가입 |
- 국제 초대형 연구기반시설 협력과 국제 표준 수립에 참여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국제연구기반(글로벌연구인프라) 고위관리회의(GSO: Group of Senior Officials on Global Research Infrastructures)에 정식 가입했다고 밝혔다. 한국은 2019년부터 국제연구기반(글로벌연구인프라) 고위관리회의로부터 가입을 요청받아왔으며, 2024년 12월 5~6일 호주 브리즈번에서 열린 제16차 회의에서 가입이 최종 승인됨에 따라 네덜란드에 이어 17번째 회원국이 되었다.
국제연구기반(글로벌연구인프라) 고위관리회의는 2008년 일본 오키나와에서 열린 주요 7개국 정상회담(G7) 과학기술장관회의에서 설립된 국제 고위관리회의로, 초대형 연구 기반시설의 공동 구축과 활용, 국제 표준 및 지침 마련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캐나다, 독일, 호주 등 주요 과학기술 선진국이 참여하고 있다.
| < 국제 연구기반시설(글로벌 연구인프라) 고위관리회의(GSO) > |
|
|
| |
▪ (개요)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 가속기 등 국제연구기반시설(GRI)의 구축 활용과 관련된 국제협력을 위해 주요 7개국을 중심으로 17개 국가가 참여하는 고위관리회의
※ ‘08년 주요 7개국 정상회담 과학기술장관회의에서 설립, 국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선택적 개방 추진
▪ (회원) 미국, 일본, 영국, 호주, 캐나다, 유럽연합,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브라질, 인도, 멕시코, 남아공 등 17개국
▪ (임무) 초대형 연구기반시설의 국제 공동구축·활용 추진 및 공통 체계 개발 |
이번 가입은 국제 초대형 연구기반시설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정책 수립과 주요 결정 과정에 한국이 본격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실례로 국제연구기반(글로벌연구인프라) 고위관리회의는 유럽내 15개국이 참여하는 유럽파쇄중성자원* 구축 사업에 국제연구기반(글로벌연구인프라) 고위관리회의 회원국(일본, 캐나다, 인도, 브라질 등)의 직접적인 참여를 이끌었으며 우주 암흑물질 탐구를 위한 국제 지하실험실 연결망 구축 등 초대형 연구기반시설의 국제 공동 구축 및 활용에 기여하고 있다.
* 파쇄중성자원(ESS, European Spallation Source) : 중성자 연구를 위한 대규모 연구시설로 ‘13년부터 스웨덴 룬드에 건설을 시작하여 ’25년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총 19억달러(약 2.6조 원)가 투자될 예정
과기정통부는 이번 국제연구기반(글로벌연구인프라) 고위관리회의 가입을 계기로 한국의 과학기술 경쟁력을 국제적으로 알리는 한편, 국제 연구 협력을 강화하고 거대 연구 인프라의 국제적 활용을 확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